미담타임스 김준완 기자 | 제주특별자치도가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개최 중인 2025 세계자연보전총회(WCC, World Conservation Congress)에서 제주형 친환경 정책을 공유하고 국제사회의 호응을 얻었다고 밝혔다.
9일부터 15일까지 열리는 이번 총회에는 세계 170여 개국에서 1,400여 개 기관, 1만여 명의 환경 전문가와 정책 관계자가 참여했다.
자연 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최대 규모 국제회의로, 제주는 탄소중립과 기후회복력 강화를 위한 정책 모델을 소개하고 제주세션과 제주홍보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9일 열린 중앙무대 제주세션에서 진명기 제주도 행정부지사는 자연 기반 기후회복력 해법을 소개했다.
세미 맹그로브 숲 조성, 생태계서비스 지불제, 남방큰돌고래 생태법인, 에너지 대전환 등 제주의 선도 사례를 공유했으며, 참가자들은 활발한 질의응답으로 높은 관심을 나타냈다.
스튜어트 매기니스 IUCN 사무차장과의 면담에서는 다중국제보호지역의 기후위기 대응과 제주 에너지 정책을 중심으로 의견을 나눴다.
IUCN은 자연기반해법을 통한 ‘네이처 포지티브’ 확산 등 상호 협력 의지를 밝혔으며, 지방정부 주도의 제주 환경정책에 찬사를 보냈다.
세계지방정부연합(ICLEI) 잉그리드 쿠지 생물다양성 이사와의 면담에서는 다중국제 보호지역으로서 제주의 생물다양성 보전 관리 방안을 논의했다.
양측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해 중앙정부뿐 아니라 지방정부의 노력이 필수적이라는데 공감했다.
제주도는 이번 총회 참여를 계기로 국제사회와 교류를 한층 강화하고, 탄소중립 실현과 자연 보전 정책을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진명기 행정부지사는 “제주의 경험과 정책을 세계와 공유하며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국제 협력을 선도하는 지방정부의 역할을 보여줬다”며 “제주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주도하는 글로벌 모델로 자리매김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