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담타임스 김준완 기자 |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주정용 쌀 ‘주향미’가 본격적인 산업화 단계에 들어섰다.
국립식량과학원이 2024년에 육성한 ‘주향미’는 증류주 전용 벼 품종이다. 찰기가 적고 알칼리붕괴도가 낮아 가공 안정성이 우수하다. 증류 과정에서 에스테르 계열 향기 성분이 풍부하게 형성돼 바나나·사과·장미를 연상시키는 과일·꽃 향을 구현한다. 관능 평가에서도 향·맛·종합 선호도 모두에서 기존 품종을 웃도는 결과를 확인했다.
하이트진로는 강원도 홍천곡산영농조합법인과 생산단지 조성 및 원료곡 계약을 체결하고 올해 3헥타르(ha) 면적에서 ‘주향미’ 14톤을 생산했으며, 고급(프리미엄) 소주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생육 단계별 현장 기술 지원을 통해 안정적인 수확을 유도하고, 홍천곡산영농조합 미곡종합처리장(RPC)과 협력해 원료곡 도정 및 공급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정부·지역·기업의 공동 참여로 원료 안정성과 품질 일관성을 동시에 확보해 쌀 산업과 전통주 산업 간 상생 구조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농촌진흥청은 앞으로 증류주용 품종 보급을 확대하고 재배 기술을 정착, 증류주 시장에 국내산 햅쌀 활용 비중을 점진적으로 늘려나갈 방침이다.
현재 ‘주향미’ 종자는 국립식량과학원 경지이용작물과(055-350-1164)에서 연구용 또는 기업체 협력 계약재배 농가에 한정해 소량 보급하고 있다.
농촌진흥청 밭작물개발부 정병우 부장은 “쌀 소비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양조용 쌀’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라며, “‘주향미’는 국산 쌀의 산업적 가치를 높이고 지역 농가와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모델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현장 중심의 실용 기술 개발과 민간 협업을 강화해 우리 농업의 경쟁력을 키워가겠다고 의지를 피력했다.












